* 대한민국 1% 富者들, 과연 얼마나 幸福할까?
[한겨레 창간 21돌 특집] 행복경제학
|
그동안 행복은 소득과 동일시됐다. 일인당 국민소득과 넓은 집과 자동차가 행복의 척도로 여겨졌다. 행복경제학자들은 행복이 소득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행복과 돈, 가족, 건강, 일이 맺는 상관성에 주목해 왔다.
<한겨레>는 행복경제연구소와 함께 우리나라 소득계층과 행복지수의 관계를 살펴봤다. |
행복의 조건은 무엇일까? 행복한 사람은 어떤 특성을 보일까?
행복한 사람일수록 기부금 참여와 자원봉사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경제연구소(소장 조승헌)는 2006년 7월 통계청이 시행한 사회통계조사 1만8095명의 자료를 재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한 달 가구소득에 따라 9개 소득계층으로 나눈 뒤, 계층별로 행복지수를 산출하고, 각 계층별 가정형태와 각종 사회활동 참여 여부를 물어 행복지수와 상관관계를 살펴봤다. 행복지수는 ‘경제적인 면, 직업, 건강 등을 고려한 전체적인 생활 滿足度’를 물은 뒤, 응답자가 5점(매우 만족)에서 1점(매우 불만족)을 주는 방식으로 산출했다.
■ 1%, 행복은 100명 중 20등
조사 대상자의 1.1%를 차지하는 最高 소득계층(제9계층)의 행복지수를 살펴보자, ‘돈이 많을수록 행복하다’는 속설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한 달 가구소득이 1000만원 이상인 이들의 행복지수는 3.37로, 300만원대(제5계층)인 집단(3.25)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전체 9개 계층 가운데 4위를 기록했다. 통계청 조사가 이뤄진 2006년 3분기의 우리나라 국민의 한 달 평균 가구소득은 305만원이었다.
각 소득계층 비율의 누적 분포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1%는 소득은 100명 중 1등이지만 행복은 20등 안팎이다. 대한민국 1%라고 해서 보통 사람보다 더 많이 행복하지는 않은 셈이다.
물론 제8계층에 이르기까진 소득이 많을수록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커졌다. 소득과 행복이 정비례 관계로 나타난 것이다. 가장 행복한 소득계층은 비교적 소득수준이 높은 중산층으로 분석됐다.
한 달 가구소득이 400만~600만원인 제6계층의 행복지수는 3.50이었고, 600만~800만원(제7계층)은 3.75, 800만~1000만원(제8계층)은 3.78로 나타났다.
■ 행복한 사람들은 나눔 활동 열심
소득계층별로 사회활동을 조사했더니, 행복지수가 높은 계층에서 기부금 참여율과 자원봉사 참여율이 높게 나왔다. 지난 1년 동안 기부금을 낸 횟수를 물은 질문에 단 한 번이라도 참여한 적이 있다고 대답한 사람이 가장 많은 계층은 6~8계층이었다.
각각의 계층은 67.5%, 71.0%, 68.0%의 기부금 참여율을 보였다. 하지만 제9계층의 기부금 참여율은 59%에 지나지 않았다. 돈은 많지만 나눔엔 인색한 것이다. 자원봉사 참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소득별 행복지수/소득계층 기부금 참여율(%)/소득계층 자원봉사 참여율(%) |
- 서울, 행복이 가장 비싼 도시
어떤 지역이 행복한가
행복한 지역은 적십자회비 납부율도 높다. 행복경제연구소는 2006년 사회통계조사를 이용해 전국 16개 시·도의 행복지수를 비교했다. 이 가운데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전남(3.117)이었고, 제주(3.108), 강원(3.080), 울산(3.052)이 뒤를 이었다.
이들 4개 시·도는 적십자회비 납부율에서도 상위권을 형성했다. 2008년 대한적십자사 자료를 보면, 제주가 41.0%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납부율을 보였고, 그다음은 전남(40.8%)과 강원(37.2%), 울산(37.0%)이 차지했다.
행복한 소득계층이 자원봉사와 기부금에 적극적인 것과 일맥상통한다. 반면 서울은 행복지수와 적십자회비 납부율 모두 최하위권이었다. 서울의 행복지수는 2.926으로 14위를 차지했고, 적십자회비 납부율은 25.6%로 15위를 기록했다. 서울의 가구소득은 전체 3위다.
주목되는 조사 결과는, 행복/소득 지수다. 소득 크기를 1로 잡을 때 행복 크기가 1이면 1로 나온다. 서울은 여기서도 꼴찌(0.876)를 기록했다. 조승헌 행복경제연구소장은 “서울이 행복을 얻는 데 돈이 가장 많이 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반면 행복을 얻는 데 비용이 적게 드는 지역은 전북(1.135), 강원(1.043), 경남(1.032) 등이었다. 조 소장은 “서울 시민은 강남·북의 부의 격차가 현격한 환경에서 살아간다”며 “강남 고소득층을 준거집단으로 삼다 보니,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고 행복을 얻기가 힘들어지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남종영 기자 |
언론에 보도된 자료를 펌하여 올리려면, 언제나~~~
보통사람으로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하다는 통계입니다~
선조의 가르침에 수분(守分)이란 말.....
진리로 깨닫는 오후입니다.
까꽁?
행복한 사람들은 사회성이 겁나게 노푸다는 거 진짜루 마자마조요
어여쁜 초롱이
맑고 밝고 푸르게 .....
보통사람으로 사라가도록 노력해야징~^^*
좋은글 감솨드리며
즐겁고 행복한 주말 되세용^^
울 Ador 오라버니~!얄랴븅~꾸벅
많습니다. 제로보드에서 금칙어가 꽤 많이 있지요?
곰곰히 살펴보아도 우리네 생활에서 그렇게 나쁜 단어들만은
아닌 것 같아서 금칙어를 모두 제거했습니다.
이제는 그런 불편을 드리지 않을 것으로 압니다.
미처 살피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
비슷한 글자나 자음 모음을
맞춤법에 틀리게 사용한 예가
여러곳에 있었습니다.
어떤때는 숫자도 거부 할때가
있드라구요.
금칙어는 막는게 문제가 아니라
필자의 양심의 문제인듯 합니다.
고맙습니다.
재화는 필요한 만큼만이지 절대선은 아니겠지요?
이곳은 물가가 싸네요 ㅎㅎㅎㅎ